Skip to content

Latest commit

 

History

History
213 lines (153 loc) · 14.2 KB

17_Router.md

File metadata and controls

213 lines (153 loc) · 14.2 KB

Router

Reference: [책] IT 엔지니어를 위한 네트워크 입문



1. What is Router?

  • Routerlayer 3에서 동작하는 여러 network 장비의 대표격으로, 이름처럼 경로를 지정해주는 장비이다
  • Router에 들어오는 packet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자신이 가진 경로(Route) 정보를 이용해 packet을 최적의 경로forwarding한다
  • Router원격지 network와 연결할 때 필수 network 장비이며, network를 구성하는 핵심 장비이다
    • 서로 다른 network 간에 통신할 때 router가 반드시 필요하다!

Router vs L3 Switch

  • Switch는 대표적인 2계층 장비이지만, router처럼 3계층에서 동작하는 L3 Switch라고 부르는 장비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 기존에 Router는 software로 구현하고, switch는 hardware로 구현하는 형태로 구분하거나 다양한 기능의 router와 packet을 빨리 보내는 데 최적화 된 switch로 구분했었다
    • 최근에는, 기술 발달로 RouterL3 switch를 구분하기는 어렵다
      • 이 문서에서 말하는 내용은 router로 설명하고 있지만, L3 switch로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 내용이다!


2. How Does a Router Work?

  • Router다양한 경로 정보를 수집해 최적의 경로routing table에 저장한 후,
    • packet이 router로 들어오면 도착지 IP 주소와 routing table을 비교해 최선의 경로로 packet을 내보낸다
  • Switch와 반대로 router는 들어온 packet의 목적지 주소가 routing table에 없으면 packet을 버린다
  • Router는 packet forwarding 과정에서 기존 layer 2 header 정보제거한 후 새로운 layer 2 header를 만들어낸다
  • 위의 router 동작 방식을 경로 지정, Broadcast control, Protocol 변환이라고 한다

2-1. 경로 지정

  • Router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경로 지정이다
    • 경로 정보를 모아 routing table을 만들고, packetforwarding한다
      • IP 주소는 network 주소host 주소로 나뉜 계층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되어 local network와 원격지 network를 구분할 수 있고, network 주소를 기반으로 경로를 찾아갈 수 있다
      • Router는 이 IP 주소를 확인해 원격지에 있는 적절한 경로로 packet을 forwarding한다
  • Router는 경로를 지정해 packet을 forwarding 하는 역할을 두 가지로 구분해 수행한다
    1. 경로 정보를 얻는 역할과
    2. 얻은 경로 정보를 확인하고, packet을 forwarding 하는 역할이다
  • Router는 자신이 얻은 경로 정보에 포함되는 packet만 forwarding하므로 정확한 목적지 경로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Router가 경로 정보를 얻는 방법

  • IP 주소를 입력하면서 자연스럽게 인접 Network 정보를 얻는 방법
  • 관리자가 직접 경로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 Router끼리 서로 경로 정보를 자동으로 교환하는 방법


2-2. Broadcast Control

  • Switch는 packet의 도착지 정보를 모르면 어딘가에 존재할지 모를 장비와의 통신을 위해 flooding해 packet을 모든 포트에 전송한다
    • LAN 어딘가에 도착지가 있을 수 있다고 가정하고 packet을 전체 network에 flooding 하는 것이 쓸모없는 packet이 전소오디어 전체 network의 성능에 무리가 갈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 LAN은 크기가 작아 flooding에 대한 영향이 작고,
      • 도착지 network interface card(NIC)에서 자신의 주소와 packet 도착지 주소가 다르면 packet을 버리기 때문에 이런 flooding 작업은 network에 큰 무리를 주지 않는다
  • 반면 Routerpacket을 원격지로 보내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어 Layer 3에서 동작하고, 분명한 도착지 정보가 있을 때만 통신을 허락한다
    • Internet 연결은 대부분 지정된 대역폭만 빌려 사용하므로, 쓸모없는 통신이 network를 차지하는 것을 최대한 막으려고 노력한다
      • 만약 LAN에서 switch가 동작하는 것처럼
        • 목적지가 없거나
        • 명확하지 않은 packet이 flooding 된다면,
      • Internet에 쓸모 없는 packet이 가득 차 통신불능 상태가 될 수 있다
  • Router바로 연결되어 있는 network 정보를 제외하고 경로 습득 설정을 하지 않으면 packet을 forwarding 할 수 없다
    • Router의 기본 동작은 multicast 정보를 습득하지 않고, broadcast packet을 전달하지 않는다
      • Router의 이 기능을 이용해 broadcast가 다른 network로 전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 이 기능을 Broadcast / Multicast Control 이라고 한다
    • Network에 broadcast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router로 network를 분리하면 broadcast network를 분할해 network 성능을 높일 수 있다


2-3. Protocol 변환

  • Router의 또 다른 역할은 서로 다른 protocol로 구성된 network를 연결하는 것이다
  • 현대 network는 Ethernet으로 수렴되기 때문에 protocol 변환의 역할이 많이 줄었지만, 과거에는 LAN에서 사용하는 protocol과 WAN에서 사용하는 protocol이 전혀 다른, 완전히 구분된 공간이었다
    • LAN은 다수의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WAN은 원거리 통신이 목적이었다
    • LAN 기술이 WAN 기술로 변환되어야만 Internet과 같은 원격지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했고, 이 역할을 Router가 담당했다
  • Router는 Layer 3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므로 Layer 3 주소 정보를 확인하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 Router에 packet이 들어오면 Layer 2까지의 header 정보벗겨내고 Layer 3 주소확인한 후 Layer 2 hearder 정보를 새로 만들어 외부로 내보낸다
      • 그래서 router에 들어올 때의 packet Layer 2 header 정보와 나갈 때의 packet Layer 2 정보가 다른 것이다
      • 이 기능을 이용하면 전혀 다른 기술 간 변환이 가능하다!


3. 경로 지정 - Routing/Switch

  • Router가 packet을 처리할 때는 크게 두 가지 작업을 수행한다
    1. 경로 정보를 얻어 경로 정보를 정리하는 역할
    2. 정리된 경로 정보를 기반으로 packet을 forwarding 하는 역할
  • Router는 자신이 분명히 알고 있는 주소가 아닌 목적지를 가진 packet이 들어오면 해당 packet을 버리므로, 들어오기 전에 경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하고 있어야 rout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 Router는 복잡하고 많은 경로 정보를 얻어 최적의 경로 정보routing table을 적절히 유지해야 한다
  • Router는 다양하고 많은 경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원하는 목적지 정보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 Router는 subnet 단위로 routing 정보를 습득하고, routing 정보를 최적화하기 위해 summary 작업을 통해 여려 개의 subnet 정보를 뭉쳐 전달 한다
      • 그래서 router에 들어온 packet의 목적지 주소와 router가 갖고 있는 routing table 정보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not exact match), 수많은 정보 중 목적지에 가장 근접한 정보를 찾아 packet을 forwarding 해야한다

3-1. Routing 동작과 Routing Table

  • 현대 network에서는 단말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모두 책임지는 것이 아니라 인접한 router까지만 경로를 지정하면,
    • 인접 router에서 최적의 경로를 파악한 후,
    • router로 packet을 forwarding 한다
  • Network를 한 단계씩 뛰어넘는다는 의미로 이 기법을 Hop by Hop routing이라고 부르고, 인접한 router를 Next Hop이라고 부른다
    • Router는 packet이 목적지로 가는 전체 경로를 파악하지 않고, 최적의 next hop을 선택해 보내준다

Next Hop을 지정하는 방법

  1. 다음 router의 IP를 지정 (Next hop IP address)
  2. Router의 outbound interface를 지정
  3. Router의 outbound interface와 다음 router의 IP를 동시에 지정

  • Router에서 next hop을 지정할 때는 일반적으로 상대방 routerInterface IP address를 지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특수한 경우에만 router의 outbound interface를 지정하는 방법을 쓸 수 있는데, 상대방의 next hop IP를 모르더라도 MAC 주소 정보를 알아낼 수 있을 때만 사용할 수 있다
    • 특수한 경우들
      1. WAN 구간 전용선에서 PPP(Point-to-Point)HLDC(High Level Datalink Control)와 같은 protocol을 사용해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 필요가 없을 때
      2. 상대방 router에서 proxy ARP가 동작해 정확한 IP 주소를 모르더라도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 수 있을 때
        • ARP란?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상대방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사용되는 protocol
  • Router가 packet을 어디로 forwarding할지 경로를 선택할 때는 출발지를 고려하지 않는다
    • 출발지와 상관없이 목적지 주소routing table을 비교해 어느 경로로 forwarding 할지 결정한다
      • 그래서 routing table을 만들 때
        • 목적지 정보만 수집하고,
        • packet이 들어오면 목적지 주소를 확인해
        • packet을 next hop으로 forwarding한다

Routing Table에 저장하는 data

  1. 목적지 주소
  2. Next hop IP 주소, local outbound interface (optional!)
  • Router에서 packet의 출발지 주소를 이용해 routing 하도록 PBR (Policy-Based Routing)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목적지 주소만 수집하는 routing table로는 이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없고, router 정책과 관련된 별도 설정이 필요하다
    • PBR 기능을 사용하면 관리가 어려워지고, 문제가 발생하면 해결이 어려우므로 특별한 목적으로만 사용한다

루프가 없는 (Loop Free) Layer 3: TTL (Time To Live)

  • Layer 3의 IP header에는 TTL 이라는 field가 있다
    • 이 field는 packet이 network에 살아 있을 수 있는 시간(Hop)을 제한한다!
  • Internet 구간에서 쓸모없는 packet이 돌아다녀 대역폭을 낭비하는 것을 막기 위해 router는 주소가 불분명한 packet을 버린다
  • but, 운영되던 사이트가 갑자기 없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고, 대안 경로를 찾다가 순간적으로 마주보는 두 대의 router의 next hop이 각각 상대방으로 구성되어 packet이 두 router 사이에서 계속 오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 이럴 경우 두 router 간의 잘못된 routing으로 L3 Loop가 발생하게 된다
  • 이렇게 packet이 영구적으로 사라지지 않는다면, 장비 간에 동일한 packet이 ping-pong을 치거나 Internet에 사라지지 않는 유령 packet이 넘쳐날 것이다
    • 그래서, 모든 packet은 TTL이라는 수명값을 가지고 있고, 이 값이 0이 되면 Network 장비에서 버려진다
  • 여기서 TTL실제 초와 같은 시간 이 아니라, hop 을 지칭하며, 하나의 hop지날 때마다 TTL 값은 1씩 줄어든다


3-2. Routing (Router가 경로 정보를 얻는 방법)

Router가 경로 정보를 얻는 방법은 크게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Direct Connected
  2. Static Routing
  3. Dynamic Routing

위의 3가지 방법을 이용해 경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경로 정보 중 목적지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선정해 Routing Table을 만든다


1. Direct Connected

  • IP 주소를 입력할 때 사용된 IP 주소Subnet mask로 해당 IP 주소가 속한 Network 주소 정보를 알 수 있다
    • Router나 PC에선 이 정보로 해당 Network에 대한 Routing Table을 자동으로 만든다
      • 이 경로 정보를 Direct Connected 라고 한다.
  • Direct Connected로 생성되는 경로 정보는 Interface에 IP를 설정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정보이므로,
    • 정보를 강제로 지울 수 없고,
    • 해당 Network 설정을 삭제하거나 해당 Network Interface가 비활성화되어야만 자동으로 사라진다

2. Static Routing

  • 관리자가 목적지 NetowrkNext hop 을 router에 직접 지정경로 정보를 입력 하는 것을 Static Routing 이라고 한다
    • Static Routing은 관리자가 경로를 직접 지정하므로, routing 정보를 매우 직관적으로 설정, 관리할 수 있다
  • Static RoutingDirect Connected 처럼 연결된 Network Interface 정보가 삭제되거나 비활성화되면 연관된 Static Routing 정보가 자동으로 삭제 된다.
    • but, Physical Interface가 아닌 Logical Interface는, Physical Interface가 비활성화되더라도 함께 비활성화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Routing Table에서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

3. Dynamic Routing

  • Static Routing은 관리자가 변화가 적은 network에서 network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지만, 큰 network는 Static Routing 만으로는 관리하기 어렵다
    • why?
      • Static Routing 적용 시 장애로 인한 network 경로 반영이 되지 않는다!
        • Static Routingrouter 너머 다른 router의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router 사이의 회선이나 router에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 상황을 파악하고 대체 경로로 packet을 보낼 수 없기 때문!
  • Dynamic Routing은 이러한 Static Routing 의 단점을 보완하여, router 끼리 자신이 알고 있는 경로 정보나 링크 상태 정보를 교환해 전체 network 정보를 학습한다
    • 주기적 or 상태 정보가 변경될 때 router끼리 경로 정보가 교환되므로, router를 연결하는 회선이나 router 자체에 장애가 발생하면, 이 상황을 인지해 대체 경로로 packet을 forwarding 할 수 있다
  • Dynamic Routing 에서는 자신이 광고할 network를 선언해주어야 한다